home
진료과/의료진
내과
- 일반적으로 인체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게 되며, 진단과정 중에 특별히 문제가 되는 영역의 경우 이에 대한 더 전문적인 진료를 받게 됩니다. 치료로는 약물치료를 포함한 전인적인 치료가 주가 되나, 최근에는 전문적인 중재적 처치 및 치료가 병행되고 있습니다.
- 소화기내과는 식도, 위, 소장, 대장과 항문, 간, 담도 및 췌장 등 인체의 소화에 관계하는 모든 장기의 광범위한 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진단 및 치료를 담당합니다.
- 심장내과는 심장 및 혈관에 관계된 질환 모두를 아울러 진료하는 특성화된 내과의 한 분과이다. 심근경색, 심실성 부정맥 등의 질환에 대한 일차적 진료과이며, 심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관리를 포함하여 심장과 주요 혈관과 관련된 질환(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심부전, 심근증, 심낭염, 감염성 심내막염, 판막 질환, 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고지혈증, 성인 선천성 심질환, 혈관 질환)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다.
- 호흡을 하는 기관지와 폐, 그리고 흉막의 질환을 진료하는 내과의 한 분야로써, 주로 진료하는 질환으로는 폐렴, 폐결핵, 기관지 확장증과 같은 감염성 질환과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과 같은 만성 폐쇄성 질환, 폐암, 각종 흉막(늑막)질환, 폐 섬유화증 및 폐질환 등이 있습니다.
- 신장내과는 신장 질환과 기능에 대해 전문으로 연구하는 내과의 한 분야로, 전해질 이상과 고혈압, 신대체 요법(혈액 투석, 복막 투석, 신장 이식)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신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담당한다. 우리나라에 흔한 신장질환으로는 사구체신염, 당뇨병에 의한 신장염, 고혈압성 신경화증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들에 대한 적극적 면역 억제 요법, 사구체 경화증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내과적 약물 요법, 고혈압의 적극적인 치료가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다. 또한 신장질환이 진행하여 신기능이 감소하게 되면 신장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투석 치료와 신장 이식을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진료과이다.
- 내분비 내과에서 다루는 질병은 내분비 호르몬의 분비 장애나 과분비로 발생하는 질환과 우리 몸의 여러 대사과정의 장애로 발생하는 질환들이 포함됩니다. 구체적으로 당뇨병에서부터 골다공증,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질환, 뇌하수체 질환, 부신질환, 고지혈증, 비만 성장장애 등 많은 질환들이 이에 속합니다.
- 다양한 혈액 질환과 각종 부위의 암을 다루는 내과의 한분야로 암의 예방, 진단, 치료를 담당합니다. 혈액 질환으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빈혈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합니다. 또한 혈구를 생산하는 골수의 기능 이상에 의한 질환으로 골수의 혈구 생산 장애인 재생불량성 빈혈, 골수증식성 질환, 골수의 악성 질환인 급성 백혈병, 반성 백혈병등을 진단하고 치료합니다. 림프계의 질환인 악성 림프종, 뼈의 통증과 면역 기능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발성 골수증, 혈소판 부족에 의한 출혈, 응고인자 장애로 인한 질환을 진단하여 치료합니다.
- 알레르기내과는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내과 및 만성기침, 호흡곤란, 객혈 등의 진단 및 치료를 담당합니다.
- 감염내과는 전신의 감염병을 치료하고 원인을 쉽게 알 수 없는 열(불명열)을 가진 환자를 진료하는 내과입니다.